구구절절2010. 10. 11. 03:10

  루쉰을 공부하면서 제가 가장 부딪치는 문제는 루쉰 글의 의도, 흐름을 제대로 읽어내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무엇보다 ‘독해’가 안되다보니 글은 당연히 꼬여버릴 수밖에요. 이런 상태에서 단순한 감이나 이미지만으로 한 주제 아래 여러 글을 묶으니, 글을 쓴 제 자신도 갸우뚱 하게 되더군요. 루쉰의 글은 한 대상, 주제에 대해서도 보여주는 관점이 너무 많아서 어딜 어떻게 가지 쳐서 다듬고 글로 만들어낼지 참 난감합니다.

  루쉰을, 루쉰의 글을 ‘잘 알지도 못하면서’ 글을 쓰려니 너무도 답답하여, 이 ‘구구절절’한 마음을 <구구절절> 란에 올려봅니다. 앞으로 루쉰을 제대로 ‘독해’하기 위해서라도 제 나름의 정리가 계속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이런 취지에서 늦었지만, 이번에는 루쉰의 잡문 중에서 제가 관심 있게 읽고 있는 테마의 글들을 정리해 볼까합니다.

  제 눈에 자꾸만 밟히는 테마는 루쉰과 ‘연극’입니다. ‘연극, 배우, 꼭두각시, 관객’. 루쉰의 잡문에서 자주 등장하는 소재들입니다. 한꺼번에 이 소재를 다 다룰 수는 없고, 이번에는 비슷한 소재 속에 나타나는 다른 ‘관점, 시선’에 대해 정리해볼까 합니다. 여러 잡문에서 연극과 관련된 비유들을 등장하고 서로 유사해보이지만, 쉽게 같다고 등호를 매기기는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의 ‘관객’이 저기에서의 ‘관객’과는 또 다른 것입니다. 섣불리 묶으려고 하다가 산산이 부서진 제 글을 떠올리며 나름대로 고민해보았습니다. 


  연극이라는 상황을 크게 공간적인 구분으로 나누면, 무대 안과 무대 밖으로 나눌 수 있을 것입니다. 무대 안, 무대 위에서는 배우들이 연기를 하고, 무대의 밖에서 그들의 연극을 구경하는 것이 관객들입니다.

A. 군중-특히 중국의 군중은-은 영원히 연극의 관객입니다. 희생이 무대에 등장하였을 때, 만약 기개가 있다면 그들은 비장극을 본 것이고, 만약 벌벌 떨고 있다면 그들은 골계극을 본 것입니다. 북경의 양고기점 앞에는 항상 몇몇 사람들이 입을 벌리고 양가죽을 벗기는 것을 구경하고 있는데, 자못 유쾌해 보입니다. 인간의 희생이 그들에게 주는 유익한 점도 역시 그러한 것에 불과합니다. 게다가 사후에 몇 걸음 채 못가서 그들은 얼마 안 되는 이 유쾌함마저도 잊어버리고 맙니다.
이러한 군중에 대해서는 방법이 없습니다. 차라리 그들이 볼 수 있는 연극을 없애버리는 것이 도리어 치료책입니다. 바로 일시적으로 깜짝 놀라게 하는 희생은 필요하지 않고 묵묵하고 끈기 있는 투쟁이 더 낫습니다.

-노라는 떠난 후 어떻게 되었는가, 무덤, p.229-

  A의 경우 군중은 연극의 관객으로 묘사되어있습니다. 이들은 무엇인가 ‘연기’하는 존재가 아니라 철저히 보는 존재입니다. 그들은 “입을 벌리고 구경”만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들은 누가 연기하는 연극(그 연극이 비장극든 골계극이든 간에)을 보고 있는 것일 까요? 연극이 있어야 관객이 있는 것이고, 이 말은 어딘가에 ‘배우들’이 있다는 이야기겠지요.

  이 배우들이 누구냐. 하는 것에 대해서는 각 잡문마다 지칭하는 대상이 조금씩 다르지만, 대부분의 경우 군중들보다는 ‘특별한’ 존재들입니다. 연기는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니까요. 그 나름의 연기력을 갖춘 배우들은 루쉰이 비판하는 “무대 위에서의 몸짓과 무대 뒤에서 본심이 다른(<속 즉흥일기>中)”이들입니다. 군중들을 속이는, 진짜가 아닌 ‘연기’하는 이들이 바로 배우들인 것입니다. 연기로 속이는 행위를 어떤 의미에서는 ‘조종’(조종이라는 단어 역시 루쉰의 잡문에 자주 등장합니다.)과 연관시켜서 생각해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관객과 배우. 연극에 대한 시선을 이 두 가지만으로 설명할 수 있으면 편하련만, 루쉰의 글은 참 ‘불’편합니다. 앞에서 연극을 공간적으로 안과 밖으로 나누었는데,(즉, 무대와 무대 밖) 마당극 같은 경우 무대와 관객석의 경계가 모호하지 않습니까? 루쉰이 말하는 연극이 마당극과 같은 ‘이미지’는 아닙니다만,(일단 쿵덕쿵덕 흥겹지 않으니까요.) 관객이 늘 관객의 역할을 하는 것만은 아니라는 점에서 그렇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제 3의 존재들, 배우 같지만 관객 같고, 관객 같지만 배우 같은 아리송한 이들이 등장합니다.

B.1 “극장은 작은 천지요, 천지는 큰 극장이다”라는, 연극무대에 걸어두는 훌륭한 대련으로 전해져오고 있다. 사람들이 본래 모든 일은 한바탕 연극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고 있으니, 진지한 사람이 있으면 그는 곧 바보가 된다. 그러나 이는 결코 적극적인 체면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며 마음속에 불평이 있어도 복수에는 겁을 내서 만사는 연극이라는 사상으로 그것을 포기해버린다. 만사가 연극인 이상 불평도 진짜가 아니며 복수하지 않아도 비겁하지 않은 것이다.

B.2 연극하는 것이라면 무대 앞에서의 자세는 무대 뒤에서의 모습과는 다르다. 단지 관객들은 분명 그것이 연극인줄 알면서도 그럴듯하기만 하면 여전히 그 연극에 기뻐하고 슬퍼할 수 도 있으며, 그래서 그 연극은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누군가가 폭로하기라도 하면 그들은 도리어 흥을 깨는 것이라고 여긴다.

-즉흥일기 속편, 화개집 p.350,351-

  B.1과 B.2는 같은 글에서 발췌한 것인데, 묘사되는 ‘시선’이 약간은 다릅니다. B.1의 경우 자신의 인생을 한낱 “연극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고” 현실을 외면하는 이들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A에 묘사되는 관객과는 다르죠. A의 관객들은 구경만하는 진정한 ‘관객’인 것에 반해서 B.1의 인물들은 자신들이 마주하는 사건들이 연극 속의 일이라 치부해버리는, 연극 무대 안에 있는 사람들입니다. 관객이 자신의 일을 연극 속의 일과 같다고 생각하지는 않으니까요. 관객은 무대를 경계로 연극과 거리를 두고 있습니다. 루쉰이 B.1에서 묘사하는 군중은 자신들이 적극적으로 연극 속에서 행동하는 것은 아니지만, 연극 무대 안에 있기 때문에, 그들을 관객이라고 부를 수는 없습니다. 관객 겸 엑스트라라고나 할까요? 그렇지만 A와 B.1을 묶을 수 있는 것은 루쉰이 관객을 묘사하든, 엑스트라(엄밀하게는 배우)를 묘사하든 그 껍데기와는 상관없이 그들은 모두 ‘수동적’인 존재라는 이유 때문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이들을 ‘꼭두각시’라고 말할 수 있겠죠. 무대 위에 있지만, 여전히 조종당하니까요. 또한 무대 밖에 있어도 배우들에게 속는 것은 마찬가지겠지만 말입니다. 속는 다는 점에서 조종당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할 수 도 있겠습니다. 

  B.2는 B.1과는 다른 관점이 느껴지는데, 묘사되는 관객의 모습이 A와 동일합니다. 그러니까, 관객과 배우가 확실히 나누어져있다는 것이죠. 발췌한 부분에는 없지만, 이 글에서 배우들은 “국수주의자 또는 도덕가 등이라 일컬어지는 패들”입니다. 이들은 연기를 하고, 관객들은 “분명 그것이 연극인줄 알면서도 그럴듯하기만 하면 여전히 그 연극에 기뻐하고 슬퍼”하는 것입니다.
정리해보자면 루쉰이 연극을 보는 초점은 1.관객을 속이는 배우, 2.철저히 구경만하는 관객 3.무대 위에 있지만 수동적인 관객 겸 배우(엑스트라) 정도 되겠습니다. 특히 3의 아리송한 수동적 존재들 때문에 좀 더 복잡해지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나눠놓고 보니, 루쉰이 ‘연극’이라는 비유를 자주 애용했고, 여러 단어에 대해서 일관성 있게 의미를 부여했다기보다는 말 그대로 ‘비유적’으로 글에서 사용했다는 느낌도 듭니다. 이렇게 생각하니 왠지 ‘허무한듸!’를 외치고 싶네요. 그렇지만 앞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죽이 되든 밥이 되든 간에 지금 저에게는 어떤 식으로든 정리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다음번(다음번이라지만 기약할 수는 없는)에는 좀 더 ‘정의’적인 것에 초점을 맞추려고 합니다. 사실 이 부분이 진정한 의미의 독해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 예를 들어 루쉰이 말하는 ‘연극’이란 무엇인가? 그가 묘사한 ‘관객’, ‘배우’들은 어떠한 존재들인가, 혹은 구체적으로 누구를 지칭하는가? 등. 루쉰의 용어 사전이라고나 할까요? 아마 ‘미션 임파서블’일 가능성이 농후하지만 그래도, 한 발짝 나아가기 위해 끄적거려 볼 생각입니다.

P.S. 사실 이 글도 다분히 제 ‘느낌과 감’에 의존한 해석일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지적 부탁드립니다.

'구구절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구절절..  (0) 2010.10.20
니몽의 구구절절3- 대화의 기술  (1) 2010.10.15
권력에 매혹당하지 마라  (2) 2010.10.07
강철의 얼굴  (2) 2010.10.06
구구절절 - 미간척의 복수 中  (1) 2010.10.04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