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릇 우매한 국민은 체격이 아무리 멀쩡하고 건강하더라도 하잘것없는 본보기의 재료나 관객이 될 수 밖에 없으며, 병으로 죽는 사람이 아무리 많아도 불행하다고 여길 것도 없다는 것이다. 우리들의 첫 번째 중요한 일은 그들의 정신을 고치는 데 있다. 당시 나는 정신을 고치는 데 있어 최선으로 당연히 문예를 들어야 한다고 여겼다.
루쉰은 그의 첫번째 소설집 『납함』의 서문에서 이렇게 말했다. 실제로 『납함』에는 그가 말하는 '우매한 국민'에 대한 소설이 여럿 수록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루쉰의 이러한 태도가 가장 잘 드러난 작품이라면 아마도 「풍파」를 꼽을 수 있을 것이다.
「풍파」는 신해 혁명 직후의 어느 작은 마을을 배경으로 한 소설이다. 뱃사공 칠근은 혁명의 바람을 따라 변발을 과감히 잘라버렸다. 그런데 어느 날 황제가 복위한다는 소식이 들려오면서 이미 변발을 잘라버린 칠근은 불안감에 휩싸인다. 더구나 마을 근방 최고의 식자인 자오치도 변발이 없으면 큰 화를 당할거라며 으름장을 놓자 칠근과 그의 가족들은 절망에 빠진다. 그러나 다음 날이 되자 황제의 등극 소문은 온데간데 없이 사라진다. 마을 사람들은 그저 황제가 등극하지 않았나보다 생각하고 다시 평화로운 나날을 보낸다.
이 소설은 무엇을 얘기하고 있는걸까? 여기에서의 '우매한 국민'이라면 단연 칠근을 비롯한 마을 사람들이다. 그들은 바깥 세상 돌아가는 일에 대해 아예 무관심하지는 않다. 하지만 어설프게 아는 것이 오히려 더욱 독이 된다. 예를 들자면 이런 식이다.
칠근은 천천히 고개를 들고 한숨을 푹 내쉬면서 말하기를
"황제께서 등극하셨대"라고 했다.
칠근의 처가 잠시 멍청히 있더니, 갑자기 크게 깨닫기라도 한 듯이 말했다.
"참 잘됐네요. 그러면 또 대사령(大赦令)이 내리지 않겠어요!"
칠근은 또 한숨을 내쉬며 말했다.
"나는 변발이 없잖아."
"황제께서 변발이 있어야 한대요?"
"황제께서는 변발을 요구하거든."
"당신 어떻게 알아요?"
칠근의 처는 조급해져서 다그쳐 물었다.
"함형주점 사람들이 모두 있어야 한댔어."
칠근의 처는 이때 직감적으로 사태가 별로 좋지 않다는 것을 느꼈다. 왜냐하면 함형주점이라면 소식이 정통한 곳이기 때문이었다.
일단 작품을 모두 읽고 나면 황제의 등극이 실제로 고려되기는 했던 일인지 의심이 든다. 만일 실제로 등극한다 하더라도 반드시 대사령이 내려지리라고는 장담할 수 없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들은 변발이 있어야 한다고 말하면서도 왜 그래야 하는지는 전혀 알지 못한다. 그저 함형주점에서 들려오는 소식이라면, 학식이 있는 자오치 어른의 말이라면, 책에 쓰여져 있다고 하면 모두 맞는 말인줄만 안다. 이런 관계는 상당히 위험하다. 어느 한쪽의 견해나 잘못된 정보 따위를 틀림없는 사실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이 이러한 지식적 권력에 대항할 수 있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루쉰의 말처럼 문예로 그들의 정신을 고쳐주어야 할까?
이것은 말하자면 일종의 '계몽'이다. 계몽이라면 지식인으로서 응당 행해야할 역할이지만 '정신을 고쳐주겠다'는 식의 접근 방법은 곤란하다. 그것은 어쩔 수 없이 '위에서 아래로' 가르치는 수직적 관계가 되기 때문이다. 이 마을 사람들에게 무언가를 일깨워 준다고 한다면 그건 그들이 '주체적으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어야 한다.
내가 여기에서 말하는 지식이란 정세를 아는 것, 즉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가를 똑바로 아는 일이다. 그러나 물론 이들이 그걸 제대로 알고 싶지가 않아서 모르는 것은 아니다. 생활 환경 자체가 세상사를 파악하기에 어렵기 때문이다. TV도, 인터넷도 없던 시절에 이 구석진 시골 마을에서 사는 사람들이 무슨 수로 나랏일을 알겠는가? 그러다보니 기껏해야 함형주점에서 근거 없는 소문을 주워듣는 수 밖에는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오늘날은 어떤가? TV도, 인터넷도 있는 지금에는 우리가 정세를 정확하게 파악하면서 살고 있는가? 자신있게 그렇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지금 우리가 알고있는 나랏일들도 어쨌거나 언론을 한 번 거쳐서 나온 정보다. 게다가 서로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이나 전하는 말이 다르니 우리가 언론을 통해 정세를 객관적으로 본다고는 말할 수 없다. 그러니까 어쩌면 우리들이나 「풍파」에 나오는 마을 사람들이나 크게 다른 처지가 아닐 수도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단지 소설 속 인물들만이 아니라 우리 자신이 지식적 권력에 대항하여 싸울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내가 여기에서 그 모든 방법을 거론할 수는 없다. 물론 알지도 못한다. 다만 내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한 가지 방법을 말할 것인데, 그건 자신의 의견과 타인의 의견을 확실하게 구분하는 일이다.「풍파」의 내용으로 이야기하자면 그것이 칠근 자신의 생각인지, 아니면 함형주점 사람들의 생각인지를 알아야 한다는 말이다. 또 책이라고 해도 마찬가지다. 책에서 읽은 얘기라고 무조건 자신의 의견으로 삼아서는 안된다. 먼저 사람들이, 혹은 책이 왜 그런 이야기를 하는가를 살펴보아야 한다. 그리고 나면 자신이 그 의견에 동의하는지, 아니면 다른 의견이 있는지 그 입장이 확실히 서게 된다.「풍파」의 인물들이 못하는 것이 바로 이 부분이다. 앞서도 말했듯이 그들은 변발이라는게 무슨 의미인지를 생각해 보지도 않았다. 그리고서 변발을 자르느냐 보존하느냐를 곧 자신들의 입장으로 삼으니(자오치라는 인물도 포함하여) 껍데기 밖에 없는 지식이 통념으로 자리잡게 된다.
우리는 앞으로도 끊임없이 생각해야 한다. 이것이 정말 나의 의견일까? 아니면 어디에서 들은 얘기를 나의 의견으로 삼은걸까? 만약 후자라면, 그러한 의견은 어떤 생각에서 나온 의견일까? 그리고 나는 그 생각에 동의하는가? 이러한 질문이 있고 나서야 우리는 비로소 '지식'이라고 할만한 무언가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특정한 매체가 가진 지식적 권력을 자연스럽게 분산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History > 루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를 향한 복수심 -토끼와 고양이를 읽고- -철현- (0) | 2010.08.13 |
---|---|
아큐를 이해하기 (3) | 2010.08.10 |
현실을 살아가기 (1) | 2010.08.08 |
“그게 그것”, 냉소와 찌찔함 사이 (4) | 2010.08.03 |
나는 아큐다. 어둠 속에서 빛을 찾아야 한다 (0) | 2010.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