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신편'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0.10.04 구구절절 - 미간척의 복수 中 1
  2. 2010.08.02 나는 아큐다. 어둠 속에서 빛을 찾아야 한다
구구절절2010. 10. 4. 21:17


  
   관솔을 여섯 번이나 갈고 난 후에야 쥐는 이미 움직일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물에 떴다 가라앉았다 하면서 때때로 물 위로 떠오
르려고 조금씩 허위적거리는 것이었다. 미간척은 다시 매우 불쌍한 느낌이 들었다. 곧 갈대를 꺾어 간신히 쥐를 집어올려 땅바닥에
놓았다. 처음에는 꼼짝도 하지 않던 쥐가, 얼마 후에는 겨우 조금 숨을 쉬었다. 다시 한참 지나서는 네 다리를 움직이고 몸을 뒤집더
니 마치 일어나서 도망가려 하는 것 같았다. 이것이 미간척을 깜짝 놀라게 하여 저도 모르게 왼발을 들어 꽉 밟아버렸다. 찍 하는 외
마디 소리가 들렸다. 그가 몸을 구부리고 자세히 들여다보니 입가에 붉은 피가 조금 나와 있었는데 아마 죽어버린 모양이었다.
   그는 또 매우 불쌍한 느낌이 들었다. 마치 자기가 큰 나쁜 짓을 한 것 같아 마음이 매우 괴로웠다. 그는 쭈그리고 앉아서 멍하니
바라보며 일어나지 않았다.
  "척아, 너 무얼하고 있니?" 어느 새 잠에서 깬 어머니가 침상에서 물었다.
  "쥐가……."
  그는 황망히 일어나 몸을 돌리고 한 마디 대답할 뿐이었다.
  "그래. 쥐 때문에 그러는 건 안다. 그런데 너는 무얼하고 있는 거냐? 죽이는 거냐, 그렇지 않으면 살려주는 거냐?"
  그는 대답하지 않았다. 관솔은 다 타버렸다. 그는 묵묵히 어둠 속에서 있었다. 점차 달빛이 밝게 보였다. 



   이 어머니께서 요구하시는 극단적인 단호함은 필시 루쉰의 목소리였을 것이라 장담한다.
   '잔재가 없는 쌈박한 복수!' (영화 광고 카피로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결국 복수하는 자의 입장에서 완벽한 승리를 거둘 수 있는 방도는 오로지 '단호함' 뿐이 아니겠는가.
   그것은 상대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자신에 대해서도 무자비함을 의미한다.
   복수를 위해 자신의 전 존재를 다 던지는 사람의 이야기는 여태까지 많이 만들어져 왔는데,
   나는 그들 스스로에게 던지는 이런 질문을 더 부각시키는 이야기가 나왔으면 한다.
   "나는 나를 죽이는 거냐, 그렇지 않으면 살려주는 거냐?"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History/루쉰2010. 8. 2. 00:13
**서울신문에 게재한 원고입니다.

[고전 톡톡 다시 읽기] <18> 루쉰 ‘아Q정전’

아큐는 곧 우리네 모습

중국 근대 문학가 루쉰(迅)은 ‘아Q정전’을 일간지 ‘천바오’(晨報)에 1921년 12월4일부터 1922년 2월12일까지 주 1회 또는 격주로 연재했다. 첫 편이 발표된 직후부터 많은 사람들이 다음엔 자기가 당하는 차례가 아닐까, 하고 전전긍긍했다. 아큐에 대한 이야기가 자신에 대한 빈정거림이라고 생각하고선 신문 기고자들을 닥치는 대로 아큐의 작가라고 의심했다고 한다. 루쉰이 작자임이 밝혀진 이후에는 아큐 이야기가 자신에 관한 것이 아니라고 변명하고 다니는 사람 또한 많았다. 아큐는 많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게 했다. 날품팔이꾼 아큐는 이름, 고향도 알려진 바 없으며 일정한 직업도 없다. 뭐 하나 똑부러지게 해내는 것도 없다. 몰골도 형편없다. 그런데 이 볼품없는 사내, 자존심만은 강하다.

▲ 1935년 판화가 리화가 그린 작품 ‘중국이여 절규하라’.

●아큐의 정신승리법


문제
는 자존심이 특정한 장소와 시점에서 발현된다는 것이다. 그의 자존심은 강자 앞에서는 자취를 감춘다. 강자 앞에서 무력하다. 모욕을 당해도 자존심을 쉽게 드러내지 못한다. 싸울 용기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분노와 치욕만은 어쩔 수 없다. 이런 욕망의 배출구를 찾아야 한다. 어디에서? 그는 자신보다 더 약한 자들에게서 이를 찾는다. 가령 노예도 폭군이 될 수 있다. 그에게 자식과 부인이 있는 한에서 말이다. 그렇지만 아큐는 마을에서 가장 무력한 부류에 속하며 가족조차 없다. 따라서 자신보다 약한 자를 쉽게 찾을 수 없다. 대략난감한 상황이다. 이 때는 스스로를 공격한다.

“그는 곧 패배를 승리로 전환시켰다. 그는 오른손을 들어 힘껏 자기 뺨을 두세 차례 연거푸 때렸다. 얼얼하게 아팠다. 때린 후에 그는 마음이 평안해지기 시작했는데, 마치 때린 것같이 몹시 만족하여 의기양양 드러누웠다. 그는 푹 잠들었다.”

스스로를 때리면서, 때린 ‘나’와 맞는 ‘나’로 나를 분리한다. 그리고 때린 ‘나’를 기억하고, 맞았던 ‘나’를 망각한다. 이때 분노와 굴욕감은 다른 곳으로 향한다. 자신은 폭력을 당한 존재가 아니라 행사한 존재라는 환상을 통해. 아큐는 자신이 당한 분노와 굴욕감을 자각하지 않는다. 자신도 누군가에게 폭력을 휘두를 수 있는 존재이며, 이런 고양감 속에서 분노와 굴욕감을 소멸시켰기 때문이다.

아큐는 말한다. 자신도 주인이라고. 그러므로 아큐는 늘 즐거울 수 있다. 그는 자신이 놓인 상황에 자신만의 의미를 부여하고 만족한다. 루쉰은 이를 ‘정신승리법’이라고 부른다. 결국 바뀌는 것은 없다. 아큐는 단 한 번도 ‘패배’를 경험하지 못한다.


●즐거운 환상 vs 썰렁한 일상


우리는 자신이 부정될 때 존재의 변신을 꾀한다. 그러나 아큐는 이런 체험의 현장으로 뛰어들지 않는다. 루쉰이 아큐를 노예라고 부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노예들은 본능적으로 자기 해체를 거부한다. 이들은 오직 눈앞의 환상만을 붙잡으려 할 뿐, 패배라는 쓰디쓴 일상에 눈을 돌리지 않는다.

그러나 생각해 보면 우리는 일상 속에서 괴로움이나 불안과 대면한다. 이 불안과 괴로움을 통해 나를 구성하는 표면인 습속에 대해 회의하게 된다. 이 때야말로 무엇인가를 배우게 된다. 즉 습속을 날카롭게 재단하는 힘, 그리고 습속으로부터 자유로운 공간이 있음을 체험하게 된다. 그럼에도 자유를 향한 절연(絶緣)이 그리 쉽지만은 않다.

노예는 정해진 길로 가길 원하지 낯선 길로 향하기를 바라지 않는다. 결국 이들은 습속을 거부하지 못하며 자유 또한 체험하지 못한다. 아니 노예들은 습속과 억압을 욕망하지 자유를 욕망하지 않는다. 이들은 한사코 자유를 거부한다. 루쉰은 ‘허(虛)를 실(實)로 오판’한 것에서 환멸의 비애가 생겨난다고 말한다. 사람들은 이 환멸 앞에서 몸을 돌려 단단해 보이는 것으로 되돌아간다.

가령 아큐는 패배에 직면할 때, 환멸의 비애를 다른 환상으로 치환한다. 그러나 단단해 보여도, 즐거워 보여도 ‘허’(虛)는 ‘허’(虛)다. 아큐가 계속 미끄러져 간 것도, 이 환멸의 비애를 애써 부정하기 때문이다. 그는 환상 이후에 오는 실재의 삶, 즉 썰렁한 일상을 견디지 못했다. 아니 견디려 하지 않았다. 따라서 썰렁한 일상은 회피된다. 아큐는 애써 밝은 빛 속에 있다고 자위하지만 그가 있는 곳은 자신이 서 있는 곳조차 알 수 없는 깊은 어둠, 무명의 세계다.


●행인-어둠 속에서 빛을 찾는 자!

 
그런데 루쉰은 이런 아큐의 어둠을 지켜볼 뿐 대안을 쉽게 제시하지 않는다. 그는 단지 아큐의 욕망을 그대로 보여줄 뿐이었다. 사실 사람들은 허위와 환멸을 붙잡고서 살아갈 수밖에 없다.

이런 허(虛)한 세계는 아큐뿐만 아니라 우리 삶의 일부이기도 하다. 우리 자신의 무명(無明)을 겸허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한 우리 역시 아큐다. 무상함, 그리고 어둠 속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음을 인정할 때 우리는 겸허해진다. 그런 연후에야 비로소 황량한 일상을 환상 없이 만날 수 있다. 

루쉰은 사람들이 이런 허위나 환상, 명분에 걸려서 넘어지지 않기를 희망했다. 왜냐하면 자기를 기만하지 않는 인간만이 황량하고 썰렁한 일상 속에서 길을 찾을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허(虛)가 삶의 조건임을 인정하는 이들은 자신이 별로 의지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 삶의 무상함과 가변성을 알고 있기에 조심스럽게 상황에 한 발을 앞으로 내민다.

따라서 자신이 별로 의지가 되지 않음을 아는 사람들이야말로 도리어 계속 길을 걸어 갈 수 있다. 자신에 대한 환상이 없기 때문에 한 발 한 발 내딛게 된다.

썰렁한 일상 속, 그 길이 보이지 않은 삶 속에서라도 빛을 찾아내면 된다. 칠흑 같은 어둠이라 해서 빛이 없는 게 아니다. “희미한 빛, 어두컴컴한 빛, 편 손가락이 보이지 않는 어둠, 아주 캄캄한 어둠” 처럼 어둠 속에서도 빛은 존재한다. 빛과 어둠이라는 말의 환상에 빠지지 않는다면 말이다.

 

최진호 수유+너머 남산 연구원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